본문 바로가기
건강

무릎통증의 원인과 해결방법

by vitamin8301 2025. 2. 7.

무릎 통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원인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무릎 통증은 무릎 관절 주위가 아픈 상태이지만, 원인은 다양하고, 원인에 따라 대처해야 할 치료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치료 초기에는 먼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합니다.

건강 검진을 통해서 통증의 특징, 부상 경험, 지금까지 해온 스포츠의 종류와 빈도, 평소 업무의 내용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또, 통증뿐만 아니라 가족 중에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는지 등, 생활 전반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물어 봅니다.

무릎 통증 설문지에서 확인할 주요내용은 아프기 시작한 시기, 아픈부위, 통증의 종류, 과거 부상 또는 질병, 가족력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건강 검진 외에도 시력 검사와 촉진을 통해서 무릎의 실제 상태를 보여주고 만져 관절의 기형이 있는지, 연골의 마모 정도가 어느정도인지 확인 합니다. 실제실제 상태를 보여주고 만져 관절의 기형이 있는지, 연골의 마모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합니다. 면담, 육안 검사, 촉진 등을 통해 대략적인 추정을 한 후 X-ray, MRI 등의 진단 영상도 병행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화농성 관절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검사와 관절액 성분 검사도 함께 시행합니다.

무릎 통증의 주요원인과 종류

1. 무릎 골관절염

대퇴골과 경골의 표면을 덮고 있는 연골 조직이 닳아 없어질 때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진행성 질환으로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것이 어려워지고 통증이 심해져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줍니다.주요 원인은 노화로 인한 연골의 마모이며, 특히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비만과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스포츠가 있습니다.

2. 반월상 연골 부상

반월상 연골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한 연골 조직으로, 무릎의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합니다. 무릎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반월상 연골이 갈라지고 통증이 생깁니다. 손상된 반월상 연골의 위치에 따라 통증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축구 등의 스포츠나 교통사고 등의 부상 등에서 무릎에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60대 이상의 경우에는 작은 충격에도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다른 가능한 질병

무릎 통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주로 노화, 스포츠 등으로 인한 무릎의 과도한 사용에 의해 발생하지만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 통증의 종류

"무릎이 아프다"고 말해도 통증의 증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증상에 따라 가능한 원인도 다양합니다.

1. 무릎 바깥쪽이 아픈경우 장경인대의 염증, 외측 반월상 연골의 손상, 외측 측부 인대의 손상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2. 무릎 안쪽이 아픈경우 무릎 연골 마모, 거위족의 염증, 내측 반월상 연골 손상, 내측 측부 인대 손상, 내측 미끄러짐 주름의 염증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3. 무릎 뒤쪽이 아픈경우 인대와 반월상 연골의 손상 및 염증 외에도 예상치 못한 질병이 숨겨져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무플 위쪽이 아픈경우 무릎 판(슬개골) 또는 무릎 위 근육(대퇴사두근)의 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스포츠의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릎 통증의 해결방법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휴식이다. 전혀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가능한 한 일상 생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단, 스포츠는 삼가해 주시고, 무거운 짐을 들거나 장시간 걷는 행위는 삼가해 주십시오. 근력의 부족으로 무릎에 부담이 있는 분들은 가벼운 스트레칭을 합니다. 스트레칭 시 통증과 함께 열감이나 부기가 느껴지면 해당 부위를 식히고, 하루에 여러번 꾸준히 반복하고 통증이 개선되면 따뜻한 찜질을 합니다. 아무 것도 하지 않아도 무릎이 아프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고 치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운동치료는 치료를 통해 통증이 완화되었을 때 시작해야 합니다. 통증이 완화 된다면 적당한 범위 내에서 조금씩 스트레칭을 시작해 보도록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기능 항진증  (0) 2025.02.09
청소년기 영양  (2) 2025.02.07
노인기의 영양문제  (4) 2025.02.07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과 식이요법  (4) 2025.02.07
성조숙증의 원인과 대처방법  (0) 2025.02.07